“1983년 6월 5일, 오대산 월정사 방산굴에서 세수 일흔하나, 법랍 마흔아홉의 한 노승이 조용히 숨을 몰아쉬었다. 탄허는 갈 때가 되었음을 알았다. 유시를 앞두고 숨이 가빠지기 시작했다.”
영화 ‘관상’의 원작과 〈십우도〉 등으로 알려진 작가 백금남이 신작 소설 〈천하의 지식인이여, 내게 와서 물으라〉(이하, 천하의 지식인이여)를 출간했다.
〈천하의 지식인이여〉는 금세기 최고의 학승이자 선승으로 추앙
<유마경>은 상업을 주로 하는 인도 북부의 자유도시 바이샬리를 무대로 삼아, 주인공 유마힐(비마라킬티)이 중심이 돼 다양한 가르침과 이야기를 전개하는 희곡 형식으로 짜여 있다. 그래서 문학적인 가치가 다른 어떤 경전들보다 뛰어나다. 또 계율의 틀 속에서 형식화돼 굳어가는 기성 교단과 교리들, 그리고 그 속에서 성직자 대접만을 고수하고 있는 비구 스님들을 향해 날카로운 비판과 풍자를 던지는 극적인 장면들은 <유마경>의 가치를 더욱 높여 주고 있다. 한마디로 옛것에 빠져 있는 교단에 진보적인 새바람을 불러일으킨 경전이 <유마경>이다. 하지만 <유마경> 속의 교리는 매우 심오하고 깊어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도 그 속의 이야기들은 매우 신선할 뿐 아니라 재미가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아주 잘 적용이 될 수가 있다.
그렇다면 심오한 <유마경>의 내용을 쉽게 전달하고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 있을까. 이러한 고민 속에 김현준 불교신행연구원장이 &
“1983년 6월 5일, 오대산 월정사 방산굴에서 세수 일흔하나, 법랍 마흔아홉의 한 노승이 조용히 숨을 몰아쉬었다. 탄허는 갈 때가 되었음을 알았다. 유시를 앞두고 숨이 가빠지기 시작했다.”
영화 ‘관상’의 원작과 〈십우도〉 등으로 알려진 작가 백금남이 신작 소설 〈천하의 지식인이여, 내게 와서 물으라〉(이하, 천하의 지식인이여)를 출간했다.
〈천하의 지식인이여〉는 금세기 최고의 학승이자 선승으로 추앙
불교는 어렵다고 한다. 조금도 틀린 말이 아니다. 가장 어려운 것은 용어가 대부분 한자이기 때문이고, 게다가 개념도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불교’라는 어려운 개념에 ‘꽁트’라는 일단 뭔가 재미가 있을 것같이 느껴지는 장르가 만난다면 어떨까?
불교계 대표적인 출판사 민족사의 윤창화 대표가 불교의 중요한 용어들을 1970년대에 유행했던 ‘꽁트’라는 장르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책을 펴내
불심 돈독한 부모님 슬하에서 잘 자란 둘째아들. 군인 출신 부친은 엄격했고, 언제나 사찰을 중심으로 일상을 꾸려나간 어머니는 아들에게 ‘거울’이 됐다. 부모님이 준 선물은 ‘불심(佛心)’. 아들은 학창시절 친구들과 마음 모아 학교에 불교학생회를 만들었다. 어머니가 가르쳐준 신심의
조계종 불교성전편찬추진위원회가 2021년 출간한 <불교성전>이 오디오북으로 제작됐다. 글을 읽을 데 어려움을 겪는 불자들이 보다 편안한 방법으로 부처님 가르침을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오디오북에는 <불교성전>의 모든 내용이 음성으로 담겼다. 불자 성우 정승운 씨가 낭독한 오디오북은 교보문고, 알라딘 등 온라인 서점을 비롯해 윌라, 밀리의서재 등 오디오북 콘텐츠 플랫폼에서 종이책보다 저
한국불교의 주체적 관점서 대승불교 전반을 담아낸 첫 대승불교 개론서가 출간됐다. 대승불교의 뿌리부터 방대한 사상과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담아낸 ‘대승불교개론’은 불교가 인도에서 태동해 세계 종교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발전·변화한 대승불교를 조계종의 통불교적 관점으로 갈무리하고 있다. 대승불교를 둘러싼 다양한 역사적·교학적 시각과 평가에 새로운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관계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쟁점도 전격적으로 다룸으로써 대승불교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조계종 교육원이 발간한 ‘대승불교개론’은 사찰승가대학